다이어트 해도 살 안 빠지는 진짜 이유? 당신이 매일 쓰는 '그것' 때문이었다!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화장품과 가정용품에 포함된 과불화화합물(PFAS)이 체중 감량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켁 의대 연구팀은 비만수술을 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혈액 속 PFAS 농도와 체중 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FAS 수치가 높은 그룹에서 수술 후 체중 재증가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위 축소 비만수술을 받은 청소년 186명을 추적 조사했다. 이 수술은 위를 줄여 빠르게 포만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체중 감량 효과를 가져오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환자들은 다시 체중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연구 결과, 수술 전 혈중 PFAS 수치가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수술 후 5년 뒤 체중이 두 배나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PFAS는 환경이나 인체 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물, 기름, 열에 강한 내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논스틱 조리도구, 식품 포장재, 방수 의류, 화장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500여 건의 연구를 종합 검토한 논문에서는 PFAS가 면역력 약화, 암 발생 등 심각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PFAS가 단순히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넘어, 음식물이 영양분으로 전환되는 체내 대사 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를 주도한 브리트니 바우머트 박사는 "이번 연구는 PFAS 노출이 청소년의 비만수술 후 체중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대사적 이점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바우머트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체중 감량 치료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PFAS가 장기적인 체중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 취약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PFAS 노출을 줄이는 정책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비만수술 환자에 초점을 맞췄지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오젬픽과 같은 주사형 비만치료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바우머트 박사는 "현재 GLP-1 계열 약물 등 다른 체중 감량 방법에서도 PFAS 노출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비만학회 학술지 《비만(Obesity)》에 'PFAS Exposure and Postoperative Weight Regain in Adolescents After Bariatric Surgery: Findings From the Teen-LABS Study'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연구 결과는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화학물질이 다이어트 효과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고 있으며, 체중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환경 화학물질 노출을 줄이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